2010. 2. 22. 10:15ㆍ일본야구 NPB/퍼시픽
구단명칭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 | ||||||||||||||||||||||||||||||||||||||||||||||||||||
설립년도 : | 1938년 | ||||||||||||||||||||||||||||||||||||||||||||||||||||
홈구장 : | 후쿠오카 야후!져팬 돔(35,773석) | ||||||||||||||||||||||||||||||||||||||||||||||||||||
감독 : | 아키야마 코우지(秋山 幸二) | ||||||||||||||||||||||||||||||||||||||||||||||||||||
일본우승: |
4회 | ||||||||||||||||||||||||||||||||||||||||||||||||||||
리그우승: | 15회 | ||||||||||||||||||||||||||||||||||||||||||||||||||||
<구단 역사> - 초창기 - 1938년 난카이철도(南海鉄道)를 모회사로 갖는 난카이군(南海軍)이 결성되며 일본직업야구연맹에 가입하였고 본거지는 오사카였다. 1944년 2차대전시 기업통합법에의해 난카이철도는 칸사이급행철도(関西急行電鉄)와 합병되어 회사명이 킨키일본철도(近畿日本鉄道, 약칭 킨테츠)로 변경되었고 팀명은 킨키닛뽄(近畿日本)이 되었다. 전쟁후 1946년에 프로야구가 재개되면서 팀명칭을 그레이트링(グレートリング)으로 명명하였다. 당시 팀 감독 은 '미스터 호크스' 츠루오카 카즈토(鶴岡 一人)로, 선수겸 감독이었다. 츠루오카 감독은 기동력을 중시한 야구를 펼치며 리그재개후 첫시즌 우승을 이루며 팀의 사상첫 우승을 일궈내었다. 이듬해인 1947년 킨키일본철도의 사업일부가 난카이전기철도(南海電気鉄道)에 양도되면서 야구팀의 모회사도 난카이전기철도로 이전되었다. 이에 팀명칭이 난카이 호크스(南海ホークス)로 바뀌게 되었다. - 츠루오카 감독의 난카이 호크스 - 1949년말 양대리그제로 개편이 됨에 따라 퍼시픽리그에 참가하였고 1950년 오사카구장(大阪球場)이 완성됨에 따라 새로운 구장으로 본거지를 이전하였다. 홈구장을 이전한 이듬해인 1951년부터 호크스는 퍼시픽리그 3연패를 달성하면서 리그 최강자로 발돋움한다. 기동력과 철벽수비를 내세우며 리그에선 최강이 되었으나 일본시리즈에서 요미우리에게 3년연속 패하며 아쉽게 물러나고 만다. 또한 55년에도 리그를 제패하며 일본시리즈에 진출하지만 또다시 요미우리에게 패하며 요미우리에게 이길 수 없는 팀으로 불리고 만다. 현재의 스타일로는 요미우리에 이길 수 없다고 판단한 츠루오카 감독은 팀스타일을 기동력야구에서 화력야구로 변모시킨다. 하지만 이후로는 리그내의 또다른 강자 니시테츠 라이온즈에게 3년연속 퍼시픽리그 왕좌를 물러주게 됨은 물론 니시테츠가 일본시리즈에서 3년연속 그들이 넘지 못했던 요미우리를 무찌르면서 일본챔피언이 되는 모습을 3년이나 지켜봐야만 했다. 그렇게 남의 잔치를 지켜만 보던 난카이 호크스는 1959년 또다시 리그우승을 하며 일본시리즈에서 그들에겐 재앙과 다름없던 요미우리와 재차 격돌하게 되었다. 츠루오카 감독은 1958년 호크스에 입단해 첫해 27승으로 신인왕, 59년 38승으로 팀의 리그 우승에 헌신했던 에이스 스기우라 타다시(杉浦 忠)를 1차전부터 4차전까지 모두 출전시키면서 4전전승으로 드디어 구단역사상 첫 일본챔피언에 오르는 감격을 맛보게 되었다. 이후 1961년에도 리그 우승으로 일본시리즈에 오르지만 다시 요미우리에게 패하고 만다. 하지만 1964년 일본시리즈에선 한신을 상대로 4승3패로 힘겹게 승리하면서 또한번 일본챔피언이 된다. 이렇게 팀을 리그 최강팀으로 만든 츠루오카 감독은 1965년 용퇴하면서 물러나고 후임으로 카게야마 카즈오(蔭山 和夫)감독이 부임하게 되지만 취임 4일만에 병으로 고인이되면서 재차 츠루오카가 감독이 복귀하며 1968년까지 호크스를 지휘하게 된다. - 노무라 감독의 난카이 호크스 - 1969년 츠루오카 감독이 물러나면서 후임으로 이이다 토쿠지(飯田 徳治)감독이 취임하게 되지만 투수진의 부상자 속출로 인해 불행히도 팀창단첫 꼴지를 맛보게 되면서 이이다감독은 사임된다. 그리고 후임으로 양리그 최고의 포수이자 팀의 기둥인 노무라 카츠야(野村 克也)가 선수겸 감독직을 맡게 된다. 노무라감독은 '생각하는 야구'를 슬로건으로 내걸면서 1970년부터 감독직에서 물러나는 77년까지 전력이 약화되던팀을 6번이나 A클래스에 올리고 73년엔 리그우승을 하는등 안정적인 팀을 구축하는데 오랫동안 성공한다. 감독은 노무라체제로 바꼈으나 여전히 팀의 영향력은 츠루오카 전감독의 휘하에 있었기에 노무라감독과 츠루오카전감독사이에 트러블이 발생하고 이에 노무라감독은 감독직에서 물러나고 이후 팀은 B클래스로 떨어지는 등 오랫동안 전력이 약화되었다.
- 후쿠오카로 - 1988년 난카이철도는 '호크스'의 팀명과 현 감독 츠루오카를 유임시키는 조건으로 다이에에 팀을 매각한다. 후쿠오카 시장을 큐슈및 아시아의 핵심으로 보고 있던 다이에는 후쿠오카시에 위치한 평화대 구장으로 본거지를 이전하고 팀명을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福岡 ダイエー ホークス)로 개명한다. 다이에 호크스는 기존 오사카의 팬들의 이전반대와 후쿠오카가 이전 니시테츠 라이온즈(현 세이부라이온즈)의 홈이었던 점에 정착하는데 여러모로 난관이 많았다. 후쿠오카에서 벌어지는 다이에호크스와 세이부라이온즈의 시합이 있는 날엔 오히려 세이부의 팬들이 더 많았을 정도라고 한다. - 돔시대, 왕정치 시대 개막 - 1993년 일본최초의 걔폐식 돔구장인 후쿠오카돔이 완성되면서 홈구장이 이전되지만, 호크스가 후쿠오카돔에서 펼친 60시합중에 홈런이 고작 18개밖에 나오지 않고 투수진도 몰락하면서 최하위를 기록하고 만다. 이로써 다이에호크스는 난카이 시절부터 16년연속 '5할승률이하' 신기록을 새우게 된다. 1995년에는 팀의 일신을 위해 오우 사다하루(王 貞治,왕정치)감독이 부임하게 되며 많은 기대를 하게 되었으나 결국 첫시즌 5위로 마감하고 만다. 이듬해인 96년에는 팀의 부진에 화가난 팬이 왕정치감독이 타고있던 버스에 날계란을 투척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호크스는 퍼시픽리그 최강자의 모습에서 어느새 일본야구 최다인 19년연속 B클래스 기록을 수립하고 말았다. 97년에도 4위를 기록하면서 20년연속 B클래스를 기록하였으나 98년에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동률 3위를 기록하며 21년만에 A클래스에 오르며 다음시즌을 기약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99년 드디어 다이에 창단이후 첫 우승을 기록하였다. 일본시리즈에선 호시노 센이치(星野仙一)감독의 쥬니치와 대결해 4승1패로 이기면서 34년만에 일본챔피언에 오르게 되었다. 이때 팀의 캡틴인 아키야마 코우지(秋山 幸二)는 2방의 홈런과 파인플레이로 MVP를 수상하였다. 이듬해인 2000년에도 리그를 제패하면서 일본시리즈에 올랐고 한때 요미우리에서 'ON포'로 함께 활동했던 나가시마 시게오(長嶋 茂雄)감독이 이끄는 요미우리와 대결하게 되었다. 이 대결에서 호크스는 2승을 먼저거두고 4연패를 하면서 일본챔피언에 오르지 못하였다.
2002년엔 첫번째로 해외에서 리그전이 벌어졌다. 2002년 5월14일과 5월15일 대 오릭스전이 왕정치감독(일본출생이지만 국적은 대만)의 대만에서 열린것이다. 기념비적인 이 시합을 치룬뒤 팀은 점점 추락해 비록 시즌 2위를 했으나 1위 세이부와 16.5게임차로 크게 벌어지고 말았다. 하지만 이듬해인 2003년, 23년연속 상대전적에서 밀렸던 세이부를 비롯 모든팀에게 5할승률 이상을 거두면서 말그대로 ' 완벽우승'을 이뤄냈다. 한신타이거즈와의 일본시리즈에선 4승3패로 승리하며 호크스의 통산 4번째 일본챔피언을 안겨주었다. 이때 역사상 최초로 호크스 한팀에서 100타점선수가 4명(이구치 타다히토(井口 資仁) , 마츠나카 노부히코(松中 信彦), 죠지마 켄지(城島 健司) 그리고 2007년 엘지트윈스에서도 뛰었던 페드로 발데스(Pedro Jose Manzo Valdes))이 배출되기도 하였다. - 소프트뱅크 시대- 2004년 11월 30일 일본야후의 모회사인 소프트뱅크가 총액 200억엔의 금액으로 다이에 호크스를 매입하는 발표가 이뤄졌고 팀명은 현재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福岡ソフトバンクホークス)로 변경되게 되었다. 또한 왕정치 감독은 팀의 부사장겸 GM이 되었다. 소프트뱅크가 주인이된 첫 시즌인 2005년에는 치바롯데마린스와 대한민국 서울에서 2시합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한국야구의 인기가 수그러들면서 채산성이 맞지 않는 다는 이유로 중지되기도 하였다. 리그에선 89승으로 또다시 리그 2연패를 달성하였나, 플레이오프에서 죠지마의 부상과 마츠나카의 부진으로 롯데에게 2승3패로 패하며 일본시리즈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이듬해 2006년에도 3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니혼햄에게 패배 역시 일본시리즈에는 진출하지 못하였다. 2007년에는 주전들의 대거부상에 의해 100프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역시 3위로 그쳤으며 플레이오프에선 1스테이지에서 롯데에게 패하고 말았다. 그리고 2008년엔 거포의 부재, 중간계투의 부재등의 문제로 24년만에 최하위로 떨어지는 아픔을 맛보았고 왕정치 감독은 건강상의 문제로 팀에서 용퇴하였다. 이에 10월8일 아키야마 코우지(秋山 幸二)감독이 왕정치감독의 뒤를 이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새감독이 되었다.
- 2009년 - 호크스는 현재 우타자의 부재가 가장 큰 문제로 요코하마에서 이적해온 타무라 히토시(多村 仁)가 있으나, 요코하마에서 부상이 잦다는 이유로 트레이드된 경력이 말해주듯 부상에 신음하는터라 팀의 불안요소로 전락하였다. 요미우리에서의 타향살이를 마치고 돌아온 고쿠보 히로키(小久保 裕紀)가 그나마 활약을 해주고 있어 불행중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타무라가 완벽하게 돌아오거나 거포 우타 용병을 데려온다면 화려한 선발진들과 함께 강력한 라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구장명칭 : | 후쿠오카 야후! 져팬 돔 (福岡Yahoo! JAPANドーム) | |
기공 : | ||
개장 : | 1993年4月2日 | |
그라운드 : | 인공잔디 | |
건설비용 : | ||
수용능력 : | 35,695명 | |
내부상세: |
좌우측사이드 - 100미터 | |
교통편 : |
토우진마치역(唐人町駅) 도보15분 | |
- 후쿠오카돔- 야후돔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위치한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홈구장이다. 돔이지만 개폐식형태라 사용목적에 따라 천정을 열고 닫는다. 천정은 3층의 패널로 이루어져있으며 이중 두개의 패널이 좌우로 120이동 가능하다. 약 20분간의 시간이 흐르면 완전히 개방된다. 한번 오픈할때마다 드는 비용은 100만엔. 일본에서 두번째로 지어진 프로야구전용 돔이며 가장 서쪽에 있는 돔이기도 하다. 또한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일본의 야구장이기도 한 야후돔은 숙박시설인 시호크돔을 비롯 엔터테인먼트 시설인 호크스타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닷가가 바로 근처이므로 야경이 아름다워 전반적으로 후쿠오카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시설이기도 하다. 필자도 돔내부는 가보지 못했지만 일문제로 한번 가본적이 있는데 상당히 평화로운 느낌의 장소였다. 후쿠오카 관광을 간다면 꼭 잊지 말고 가보기를 추천한다.
| ||
|
위의 자료의 출처는 npbmania.com 입니다.
![]() |
![]() |
![]()
![]() |
![]() |
![]()
![]() |
![]() |
![]()
|
![]() |
![]() 타 률 |
![]() 득 점 권 |
![]() 시 합 |
![]() 타 수 |
![]() 득 점 |
![]() 안 타 |
![]() 2 루 타 |
![]() 3 루 타 |
![]() 봉척벽 루 타 |
![]() 루 타 |
![]() 타 점 |
![]() 도 루 |
![]() 희 타 |
![]() 희 비 |
![]() 4 구 |
![]() 사 구 |
![]() 3 진 |
![]() 병 살 타 |
![]() 실 책 |
![]() 출 루 률 |
![]() 장 타 률 | |
---|---|---|---|---|---|---|---|---|---|---|---|---|---|---|---|---|---|---|---|---|---|---|
1 | 철평(락) | .3266 | .319 | 132 | 496 | 84 | 162 | 26 | 13 | 12 | 250 | 76 | 13 | 8 | 5 | 47 | 9 | 76 | 4 | 5 | .391 | .504 |
2 | 사카구치(오) | .3174 | .297 | 137 | 526 | 82 | 167 | 23 | 7 | 5 | 219 | 50 | 16 | 8 | 4 | 52 | 4 | 81 | 8 | 2 | .381 | .416 |
3 | 사부로(로) | .3138 | .320 | 119 | 427 | 71 | 134 | 24 | 2 | 22 | 228 | 68 | 4 | 4 | 9 | 48 | 1 | 121 | 7 | 2 | .377 | .534 |
4 | 하세가와(소) | .3123 | .303 | 143 | 509 | 69 | 159 | 31 | 3 | 7 | 217 | 44 | 10 | 11 | 1 | 57 | 6 | 89 | 7 | 4 | .387 | .426 |
5 | 타카하시(일) | .3090 | .326 | 134 | 508 | 66 | 157 | 22 | 1 | 8 | 205 | 75 | 7 | 7 | 3 | 35 | 5 | 78 | 16 | 1 | .358 | .404 |
6 | 나카지마(서) | .3089 | .382 | 144 | 560 | 100 | 173 | 31 | 3 | 22 | 276 | 92 | 20 | 0 | 3 | 75 | 10 | 113 | 17 | 12 | .398 | .493 |
7 | 이토이(일) | .3058 | .333 | 131 | 425 | 74 | 130 | 40 | 3 | 15 | 221 | 58 | 24 | 18 | 1 | 46 | 6 | 93 | 6 | 2 | .381 | .520 |
8 | 쿠사노(락) | .3051 | .306 | 122 | 462 | 55 | 141 | 28 | 0 | 7 | 190 | 54 | 3 | 3 | 2 | 27 | 17 | 60 | 15 | 5 | .364 | .411 |
9 | 카네코 마코토(일) | .3039 | .360 | 136 | 454 | 58 | 138 | 31 | 2 | 14 | 215 | 66 | 6 | 22 | 4 | 27 | 3 | 88 | 8 | 8 | .344 | .474 |
10 | 이나바(일) | .3000 | .305 | 135 | 500 | 78 | 150 | 37 | 4 | 17 | 246 | 85 | 5 | 2 | 6 | 65 | 14 | 96 | 4 | 3 | .391 | .492 |
11 | 코야노(일) | .2962 | .278 | 138 | 530 | 65 | 157 | 33 | 4 | 11 | 231 | 82 | 7 | 16 | 2 | 27 | 6 | 95 | 21 | 6 | .336 | .436 |
12 | 오오무라(오) | .2911 | .294 | 119 | 419 | 32 | 122 | 21 | 0 | 0 | 143 | 30 | 5 | 14 | 5 | 18 | 6 | 35 | 10 | 2 | .326 | .341 |
13 | G.G.사토(서) | .2908 | .262 | 136 | 502 | 69 | 146 | 34 | 0 | 25 | 255 | 83 | 1 | 1 | 1 | 43 | 9 | 121 | 20 | 2 | .357 | .508 |
14 | 나카무라(서) | .2854 | .281 | 128 | 501 | 91 | 143 | 37 | 1 | 48 | 326 | 122 | 3 | 0 | 2 | 52 | 7 | 154 | 8 | 14 | .359 | .651 |
15 | 타나카(일) | .2834 | .322 | 144 | 575 | 93 | 163 | 34 | 4 | 3 | 214 | 49 | 31 | 17 | 4 | 79 | 5 | 105 | 0 | 9 | .373 | .372 |
16 | 오티즈(소) | .2822 | .289 | 109 | 411 | 54 | 116 | 24 | 2 | 20 | 204 | 74 | 2 | 0 | 8 | 36 | 3 | 81 | 8 | 13 | .338 | .496 |
17 | 이구치(로) | .2812 | .273 | 123 | 448 | 71 | 126 | 24 | 3 | 19 | 213 | 65 | 4 | 0 | 1 | 68 | 13 | 101 | 11 | 7 | .391 | .475 |
18 | 마츠나카(소) | .2790 | .289 | 126 | 448 | 62 | 125 | 21 | 0 | 23 | 215 | 80 | 2 | 0 | 3 | 62 | 8 | 77 | 11 | 0 | .374 | .480 |
19 | 와타나베곧(락) | .2764 | .194 | 125 | 463 | 79 | 128 | 24 | 2 | 1 | 159 | 28 | 26 | 19 | 3 | 55 | 7 | 69 | 13 | 5 | .360 | .343 |
20 | 후쿠우라(로) | .2727 | .293 | 129 | 396 | 47 | 108 | 18 | 0 | 6 | 144 | 39 | 1 | 11 | 3 | 46 | 4 | 65 | 8 | 1 | .352 | .364 |
21 | 오마츠(로) | .2692 | .270 | 139 | 494 | 67 | 133 | 28 | 1 | 19 | 220 | 79 | 0 | 2 | 6 | 47 | 4 | 80 | 11 | 5 | .334 | .445 |
22 | 쿠리야마(서) | .2671 | .305 | 140 | 569 | 78 | 152 | 24 | 6 | 12 | 224 | 57 | 18 | 8 | 3 | 53 | 10 | 106 | 9 | 1 | .339 | .394 |
23 | 코쿠보(소) | .2664 | .336 | 144 | 533 | 64 | 142 | 27 | 0 | 18 | 223 | 81 | 2 | 0 | 6 | 50 | 16 | 101 | 13 | 8 | .344 | .418 |
24 | 스렛지(일) | .2655 | .248 | 117 | 418 | 53 | 111 | 27 | 1 | 27 | 221 | 88 | 1 | 0 | 5 | 58 | 6 | 108 | 12 | 2 | .359 | .529 |
25 | 봉척벽다(소) | .2617 | .277 | 137 | 554 | 72 | 145 | 32 | 4 | 1 | 188 | 41 | 43 | 18 | 2 | 44 | 4 | 95 | 5 | 8 | .320 | .339 |
26 | 페르난데스(오) | .2609 | .224 | 117 | 410 | 43 | 107 | 21 | 0 | 15 | 173 | 47 | 4 | 0 | 2 | 31 | 4 | 71 | 15 | 7 | .318 | .422 |
27 | 카타오카(서) | .2602 | .237 | 139 | 588 | 92 | 153 | 32 | 4 | 13 | 232 | 58 | 51 | 12 | 3 | 36 | 7 | 72 | 8 | 7 | .309 | .395 |
28 | 니시오카(로) | .2599 | .244 | 120 | 454 | 70 | 118 | 24 | 5 | 14 | 194 | 41 | 26 | 3 | 2 | 67 | 5 | 76 | 6 | 12 | .360 | .427 |
29 | 카와사키(소) | .2592 | .215 | 143 | 540 | 73 | 140 | 26 | 8 | 4 | 194 | 34 | 44 | 43 | 3 | 47 | 7 | 90 | 8 | 9 | .325 | .359 |
30 | 다가미(소) | .2505 | .250 | 138 | 463 | 47 | 116 | 16 | 1 | 26 | 212 | 80 | 0 | 18 | 5 | 29 | 5 | 122 | 12 | 7 | .299 | .458 |
31 | 야마자키 타케시(락) | .2462 | .247 | 142 | 536 | 73 | 132 | 27 | 0 | 39 | 276 | 107 | 3 | 0 | 4 | 67 | 4 | 114 | 23 | 0 | .332 | .515 |
32 | 사토자키(로) | .2343 | .228 | 124 | 414 | 39 | 97 | 22 | 1 | 10 | 151 | 49 | 0 | 5 | 5 | 49 | 6 | 121 | 7 | 7 | .321 | .365 |
타 률 |
득 점 권 |
시 합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봉척벽 루 타 |
루 타 |
타 점 |
도 루 |
희 타 |
희 비 |
4 구 |
사 구 |
3 진 |
병 살 타 |
실 책 |
출 루 률 |
장 타 률 |
붉은색 굵은 글씨는 소프트뱅크 타자들과 퍼시픽 리그에 속한 선수들 중 리그 탑(Top)을 표시한 것입니다.
아래의 등판, 승리, 세이브, HP의 굵은색 빨간 글씨는 소프트뱅크 투수들을 뜻하며, 그 아래의 표의 굵은색 빨간 글씨는 리그 탑(Top)을 뜻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방어율 랭킹(규정 투구 회수 이상) | ※각부문의 리그 톱은, | 그리고 나타내고 있습니다. |

|
위의 자료는 네이버 일본어 번역으로 www.tbs.co.jp/baseball/ 이 사이트를 번역한 것이므로, 일본식 발음과 정확히 일치 않음을 말씀드립니다. 다음 회에는 마지막 센트럴 리그로 넘어갑니다.
'일본야구 NPB > 퍼시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야구 전력분석⑫] “올해는 우승탈환!” 세이부 + @ (0) | 2010.03.09 |
---|---|
[日야구 전력분석②] 공포의 ‘똑딱이 타선’ 니혼햄 + @ (0) | 2010.03.04 |
라쿠텐 골든이글스 (0) | 2010.02.18 |
치바롯데 마린스 (2) | 2010.02.14 |
니혼햄 파이터즈 (0) | 201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