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2. 18. 12:00ㆍ일본야구 NPB/퍼시픽
구단명칭 : | 토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東北 楽天 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 ||||||||||||||||||||||
설립년도 : | 2005년 | ||||||||||||||||||||||
홈구장 : | 크리넥스 스타디움(23,000석) | ||||||||||||||||||||||
감독 : | 노무라 카츠야(野村 克也) | ||||||||||||||||||||||
일본우승: |
0회 | ||||||||||||||||||||||
리그우승: | 0회 | ||||||||||||||||||||||
<구단 역사> - 라이브도어와 격돌 - 2004년 6월 킨테츠 버팔로즈가 오릭스에 합병되면서 퍼시픽리그에 한자리가 비게 되었고 이에 달려든 기업이 바로 블로그를 중심으로한 라이브도어(Livedoor)와 쇼핑몰을 중심으로 한 라쿠텐 두 IT기업이었다. 라이브도어는 킨테츠가 오릭스에 합병되려는 시점에 등장해 킨테츠의 매입을 타진하였지만 실패로 돌아가게 되었고 결국 킨테츠는 오릭스에 합병되었다. 이에 라이브도어는 토호쿠를 중심으로한 야구팀의 창설을 공언했고 이때만 해도 라이브도어의 신구단 창단은 확정적으로 보이기까지 하였다. 하지만 라이브도어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며 끼어든 그룹이 있었으니 그게 바로 라쿠텐이다. 두 그룹모두 기업체로서 의 절대적인 네임밸류를 갖기 위해 야쿠팀보다 더 좋은건 없다는 포석이었다. 라쿠텐역시 라이브도어와 마찬가지로 토호쿠를 중심으로 야구팀을 창설하겠다는 발표에 라이브도어는 크게 화를 내었고 자신들이 라쿠텐보다 더 우위에 있다고 주장하였지만 야구연맹은 각종자료를 살피고 검증한 끝에 라쿠텐이 더 적합하다며 후발업체의 손을 들어주었다. - 창단 후 - 타오 야스시(田尾 安志)를 그들의 첫 감독으로 추대한 라쿠텐은 이후 그들만을 위한 분배 트레이드에서 40명의 선발입단을 확정지었다. 드래프트에선 메이지대학을 졸업한 특급 유망주 이치바 야스히로(一場 靖弘)를 비롯한 6명을, 야마사키 타케시(山崎 武司), 세키가와 코우이치(関川 浩一)등의 베테랑선수들을 자유계약으로 획득하였다. 또한 오릭스와의 합병으로 킨테츠에서 오릭스 선수가된 이와쿠마 히사시(岩隈 久志)를 금전 트레이드로 손에 넣는데 성공하며 아직은 부족하지만 프로팀으로서 팀을 갖추는데 어느정도 성공하였다. 한편 라쿠텐의 홈으로 사용될 센다이의 미야기구장(宮城球場)은 노쇠화가 심각했기에 라쿠텐의 출자로 2년계획에 의한 구장 개보수가 실시되었다. 라쿠텐은 토호쿠 지역의 팀이기에 당시 고시엔을 통해 슈퍼스타가 된 토호쿠고교 출신의 달빗슈 유(ダルビッシュ 有)를 데려오는데 성공하지 않는가 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금전적인면과 어린선수를 키워내는데 적합하지 못한 시설등의 문제로 인해 즉시 전력감이라 생각되는 대졸의 이치바를 데려오게 되었다. (하지만 이치바는 팀내에서 입지를 굳히는데 실패하고 환경변화를 갖는게 좋다고 생각한 노무라(野村 克也) 감독에 의해 2009년 야쿠르트로 트레이드 되었다.) - 실망스런 첫시즌 - 3월26일 그들의 첫시즌 첫경기는 에이스 이와쿠마에게 맡겨졌다. 이와쿠마는 9이닝 1실점의 완투피칭을 선보이며 팀의 창단 첫 공식시합을 3대1 승리로 이끌게 되었다. 그들의 시작은 좋았으나 역시 창단팀으로서 일본프로야구는 쉽지 않은 문이었다. 양대리그 실시후 최다점수차(0대26) 패배를 기록하는등 프로팀답지 못한 수준을 계속 보여주던 라쿠텐은 결국 첫해 승률 .281로 많은 이들에게 실망을 안겨주었다. 사실상 첫 시즌은 라쿠텐그룹도 별 기대하지 않았었고 장기적인 플랜하에 타오 야스시감독을 임명하였지만 3할도 안되는 끔찍한 팀성적에 실망을 하고 타오감독을 경질하였다. 라쿠텐은 이후 명감독 노무라 카츠야씨를 끈질긴 구애 끝에 감독으로 내정할 수 있었다. - 노무라 감독 시대 - 노무라 감독은 우선 즉시 전력감이라 생각되는 외국인 용병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세이부의 호세 페르난데스를 비롯 요코하마의 세드릭 바워즈, 릭 쇼트등을 획득하였다. 팀은 비록 2년연속 최하위를 기록했지만 작년보다 9승많은 47승(4무85패)을 기록하였다. 또한 호세 페르난데스가 베스트9에 뽑히면서 팀창단 최초 베스트9 선수가 되었다. 또한 드래프트에선 일본의 차후 에이스감인 타나카 마사히로(田中 将大, 별칭 마쿤(마君))를 영입하는데 성공하였다. 2007년에는 팀 최초5연승을 기록하기도 하는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팀의 베테랑 야마사키가 40홈런을, 신인인 마쿤이 구단 첫 투수 10승을 올리기도 하였다. 결국 시즌종료시점에 야마사키는 43홈런 108타점으로 2관왕을, 마쿤은 신인왕을 획득하였다. 이에 팀성적도 3위 소프트뱅크와 7.5게임차의 4위를 확정지었다. 2008년엔 미야기구장의 명칭이 크리넥스스타디움으로 변경되었다. 에이스 이와쿠마는 21승, 최우수방어율(1.87), 최다승률(.870)을 기록하며 MVP와 베스트9을 수상하였다. 시즌 마지막시합에선 승률동률로 함께 5위를 기록하던 소프트뱅크와의 시합에서 12회 연장까지 가는 접전끝에 야마사키의 안타로 단독 5위를 확정지었다.
- 2009년 - 라쿠텐은 5월20일 현재까지 이와쿠마, 마쿤의 활약에 힘입어 1위 니혼햄과 두게임반차로 2위를 달리고 있다. 현재의 페이스가 끝까지 이어진다면 첫A클래스 입성 및 플레이오프진출도 꿈은 아니겠지만 장타력이 떨어지는 관계로 이부분만 해결된다면 분명 좋은 결실을 낼 수 있을 것이다. |
구장명칭 : | 크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クリネックススタジアム宮城) | |
기공 : | ||
개장 : | 1950年5月5日 | |
그라운드 : | 인공잔디 | |
건설비용 : | ||
수용능력 : | 22,187명 | |
내부상세: |
좌우측사이드 - 101.5미터 | |
교통편 : |
미야기노하라역(宮城野原駅) 도보10분 | |
- 미야기 구장 - 일본프로야구계의 신생아 라쿠텐 골든 이글스가 홈으로 사용하는 센다이의 크리넥스 스타디움은 본래 미야기구장으로 불리우나, 일본제지가 명명권을 획득하면서 크리넥스 스타디움(약칭 K스타미야기)으로 변경되었다. 시설이 굉장히 노후하였기에 라쿠텐이 2년간의 개보수에 걸쳐 사용하고 있는 구장이다. 원래 23,000명까지 수용가능한 구장이었으나 고객의 편리를 위해 22,187명으로 줄이기도 하였다. 한편 센다이를 중심으로 한 토호쿠 지방에는 1970년대 롯데가 가와사키로 이전함과 동시에 오랫동안 프로야구팀이 없었다. 2000년대 초반 킨테츠가 오릭스에 합병되면서 퍼시픽리그의 한자리가 남게 되었고 이에 IT기업 라이브도어가 참여하기로 한다. 라이브도어는 새로운 홈으로 토호쿠의 센다이를 지목하면서 센다이시민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윽고 제2의 후보로 뛰어든 라쿠텐 역시 센다이를 지목하면서 센다이 시민들은 궂이 누구손을 들어줄 필요가 없는 행복한 상태가 되었다. 결국 라쿠텐의 승리로 막을 내리지만 누가 되었건 25년만의 프로팀 입성소식에 누구보다 기뻐했을 그들일 것이다.
| ||
|
위의 자료의 출처는 npbmania.com 입니다.
![]() |
![]() |
![]()
![]() |
![]() |
![]()
![]() |
![]() |
![]()
|
![]() |
![]() 타 률 |
![]() 득 점 권 |
![]() 시 합 |
![]() 타 수 |
![]() 득 점 |
![]() 안 타 |
![]() 2 루 타 |
![]() 3 루 타 |
![]() 봉척벽 루 타 |
![]() 루 타 |
![]() 타 점 |
![]() 도 루 |
![]() 희 타 |
![]() 희 비 |
![]() 4 구 |
![]() 사 구 |
![]() 3 진 |
![]() 병 살 타 |
![]() 실 책 |
![]() 출 루 률 |
![]() 장 타 률 | |
---|---|---|---|---|---|---|---|---|---|---|---|---|---|---|---|---|---|---|---|---|---|---|
1 | 철평(락) | .3266 | .319 | 132 | 496 | 84 | 162 | 26 | 13 | 12 | 250 | 76 | 13 | 8 | 5 | 47 | 9 | 76 | 4 | 5 | .391 | .504 |
2 | 사카구치(오) | .3174 | .297 | 137 | 526 | 82 | 167 | 23 | 7 | 5 | 219 | 50 | 16 | 8 | 4 | 52 | 4 | 81 | 8 | 2 | .381 | .416 |
3 | 사부로(로) | .3138 | .320 | 119 | 427 | 71 | 134 | 24 | 2 | 22 | 228 | 68 | 4 | 4 | 9 | 48 | 1 | 121 | 7 | 2 | .377 | .534 |
4 | 하세가와(소) | .3123 | .303 | 143 | 509 | 69 | 159 | 31 | 3 | 7 | 217 | 44 | 10 | 11 | 1 | 57 | 6 | 89 | 7 | 4 | .387 | .426 |
5 | 타카하시(일) | .3090 | .326 | 134 | 508 | 66 | 157 | 22 | 1 | 8 | 205 | 75 | 7 | 7 | 3 | 35 | 5 | 78 | 16 | 1 | .358 | .404 |
6 | 나카지마(서) | .3089 | .382 | 144 | 560 | 100 | 173 | 31 | 3 | 22 | 276 | 92 | 20 | 0 | 3 | 75 | 10 | 113 | 17 | 12 | .398 | .493 |
7 | 이토이(일) | .3058 | .333 | 131 | 425 | 74 | 130 | 40 | 3 | 15 | 221 | 58 | 24 | 18 | 1 | 46 | 6 | 93 | 6 | 2 | .381 | .520 |
8 | 쿠사노(락) | .3051 | .306 | 122 | 462 | 55 | 141 | 28 | 0 | 7 | 190 | 54 | 3 | 3 | 2 | 27 | 17 | 60 | 15 | 5 | .364 | .411 |
9 | 카네코 마코토(일) | .3039 | .360 | 136 | 454 | 58 | 138 | 31 | 2 | 14 | 215 | 66 | 6 | 22 | 4 | 27 | 3 | 88 | 8 | 8 | .344 | .474 |
10 | 이나바(일) | .3000 | .305 | 135 | 500 | 78 | 150 | 37 | 4 | 17 | 246 | 85 | 5 | 2 | 6 | 65 | 14 | 96 | 4 | 3 | .391 | .492 |
11 | 코야노(일) | .2962 | .278 | 138 | 530 | 65 | 157 | 33 | 4 | 11 | 231 | 82 | 7 | 16 | 2 | 27 | 6 | 95 | 21 | 6 | .336 | .436 |
12 | 오오무라(오) | .2911 | .294 | 119 | 419 | 32 | 122 | 21 | 0 | 0 | 143 | 30 | 5 | 14 | 5 | 18 | 6 | 35 | 10 | 2 | .326 | .341 |
13 | G.G.사토(서) | .2908 | .262 | 136 | 502 | 69 | 146 | 34 | 0 | 25 | 255 | 83 | 1 | 1 | 1 | 43 | 9 | 121 | 20 | 2 | .357 | .508 |
14 | 나카무라(서) | .2854 | .281 | 128 | 501 | 91 | 143 | 37 | 1 | 48 | 326 | 122 | 3 | 0 | 2 | 52 | 7 | 154 | 8 | 14 | .359 | .651 |
15 | 타나카(일) | .2834 | .322 | 144 | 575 | 93 | 163 | 34 | 4 | 3 | 214 | 49 | 31 | 17 | 4 | 79 | 5 | 105 | 0 | 9 | .373 | .372 |
16 | 오티즈(소) | .2822 | .289 | 109 | 411 | 54 | 116 | 24 | 2 | 20 | 204 | 74 | 2 | 0 | 8 | 36 | 3 | 81 | 8 | 13 | .338 | .496 |
17 | 이구치(로) | .2812 | .273 | 123 | 448 | 71 | 126 | 24 | 3 | 19 | 213 | 65 | 4 | 0 | 1 | 68 | 13 | 101 | 11 | 7 | .391 | .475 |
18 | 마츠나카(소) | .2790 | .289 | 126 | 448 | 62 | 125 | 21 | 0 | 23 | 215 | 80 | 2 | 0 | 3 | 62 | 8 | 77 | 11 | 0 | .374 | .480 |
19 | 와타나베곧(락) | .2764 | .194 | 125 | 463 | 79 | 128 | 24 | 2 | 1 | 159 | 28 | 26 | 19 | 3 | 55 | 7 | 69 | 13 | 5 | .360 | .343 |
20 | 후쿠우라(로) | .2727 | .293 | 129 | 396 | 47 | 108 | 18 | 0 | 6 | 144 | 39 | 1 | 11 | 3 | 46 | 4 | 65 | 8 | 1 | .352 | .364 |
21 | 오마츠(로) | .2692 | .270 | 139 | 494 | 67 | 133 | 28 | 1 | 19 | 220 | 79 | 0 | 2 | 6 | 47 | 4 | 80 | 11 | 5 | .334 | .445 |
22 | 쿠리야마(서) | .2671 | .305 | 140 | 569 | 78 | 152 | 24 | 6 | 12 | 224 | 57 | 18 | 8 | 3 | 53 | 10 | 106 | 9 | 1 | .339 | .394 |
23 | 코쿠보(소) | .2664 | .336 | 144 | 533 | 64 | 142 | 27 | 0 | 18 | 223 | 81 | 2 | 0 | 6 | 50 | 16 | 101 | 13 | 8 | .344 | .418 |
24 | 스렛지(일) | .2655 | .248 | 117 | 418 | 53 | 111 | 27 | 1 | 27 | 221 | 88 | 1 | 0 | 5 | 58 | 6 | 108 | 12 | 2 | .359 | .529 |
25 | 봉척벽다(소) | .2617 | .277 | 137 | 554 | 72 | 145 | 32 | 4 | 1 | 188 | 41 | 43 | 18 | 2 | 44 | 4 | 95 | 5 | 8 | .320 | .339 |
26 | 페르난데스(오) | .2609 | .224 | 117 | 410 | 43 | 107 | 21 | 0 | 15 | 173 | 47 | 4 | 0 | 2 | 31 | 4 | 71 | 15 | 7 | .318 | .422 |
27 | 카타오카(서) | .2602 | .237 | 139 | 588 | 92 | 153 | 32 | 4 | 13 | 232 | 58 | 51 | 12 | 3 | 36 | 7 | 72 | 8 | 7 | .309 | .395 |
28 | 니시오카(로) | .2599 | .244 | 120 | 454 | 70 | 118 | 24 | 5 | 14 | 194 | 41 | 26 | 3 | 2 | 67 | 5 | 76 | 6 | 12 | .360 | .427 |
29 | 카와사키(소) | .2592 | .215 | 143 | 540 | 73 | 140 | 26 | 8 | 4 | 194 | 34 | 44 | 43 | 3 | 47 | 7 | 90 | 8 | 9 | .325 | .359 |
30 | 다가미(소) | .2505 | .250 | 138 | 463 | 47 | 116 | 16 | 1 | 26 | 212 | 80 | 0 | 18 | 5 | 29 | 5 | 122 | 12 | 7 | .299 | .458 |
31 | 야마자키 타케시(락) | .2462 | .247 | 142 | 536 | 73 | 132 | 27 | 0 | 39 | 276 | 107 | 3 | 0 | 4 | 67 | 4 | 114 | 23 | 0 | .332 | .515 |
32 | 사토자키(로) | .2343 | .228 | 124 | 414 | 39 | 97 | 22 | 1 | 10 | 151 | 49 | 0 | 5 | 5 | 49 | 6 | 121 | 7 | 7 | .321 | .365 |
타 률 |
득 점 권 |
시 합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봉척벽 루 타 |
루 타 |
타 점 |
도 루 |
희 타 |
희 비 |
4 구 |
사 구 |
3 진 |
병 살 타 |
실 책 |
출 루 률 |
장 타 률 |
붉은색 굵은 글씨는 라쿠텐 타자들과 퍼시픽 리그에 속한 선수들 중 리그 탑(Top)을 표시한 것입니다.
아래의 등판, 승리, 세이브, HP의 굵은색 빨간 글씨는 라쿠텐 투수들을 뜻하며, 그 아래의 표의 굵은색 빨간 글씨는 리그 탑(Top)을 뜻합니다.
![]() |
![]() |
![]()
![]() |
![]() |
![]()
![]() |
![]() |
![]()
![]() |
![]()
![]() |
방어율 랭킹(규정 투구 회수 이상) | ※각부문의 리그 톱은, | 그리고 나타내고 있습니다. |

|